성역없는 사정
작성일 21-10-16 21:52
페이지 정보
작성자진영신문 조회 8,431회 댓글 0건본문
하루에도 여기저기서 5억 10억 뭉칫돈이 튀어나왔다.
심지어 30억 50억 원에 달하는 뭉칫돈도 있었다.
워낙 거액인 데다 추적할 계좌가 너무 많아서 1억원 이하는 아예 추적도 안 했다고,
어느 수사관이 말했다.
비록 걸리더라도 떡값이라고 우기면 그만이라고 여겼다
우연히 돈을 주고받은 사람이 순진하게 자백한 경우에만
검찰에 고발되어 형사처벌을 한 사건이었다.
1993년 7월 17일 서소문 대검청사 8층에서 당시 김태정 대검찰청 중수부장이 별로 내키지 않는 표정으로 율곡사업 비리 사건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김종휘 전 청와대 대통령비서 외교안보 수석비서관 1억 3천
이종구 전 국방장관 1억8천,
이상훈 전 국방장관 1억5천,
한주석 전 공군참모총장 3억2천,
김철우 전 해군참모총장 3억원,
뇌물제공자 정의승 학산실업 대표이사 등 5명...
특히 김영삼 대통령이 [성역없는 사정] 이라는 지시 아래
사정 수사의 칼을 높이 들었지만
7월 9일 검찰이 이 사건을 감사원에서 넘겨받고 7월 17일 날 발표했으니
22조4천만 원이라는 방대한 수사를 9일 만에 끝낸 셈이다.
그래서 당시 언론과 전 모든 국민이 검찰이 보이지 않는 손에
눈치를 살피는 사건이라고 했다.
율곡사업은 한국군의 전력 증강사업이었다.
육 해공군의 전력증강사업으로 각종 무기 및 장비 현대화가 핵심이었다.
율곡사업을 처음 착수한 74년 감사원의 감사가 시작된 93년 직전까지 22조4천만 원을 투자했고 96년 말까지는 50조원 가깝게 투자했다.
*당시 서울강남 30평 아파트가 2억원에 거래됐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